'경리/회계 기초'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5.07.10 차변(debit)과 대변(credit) --> "크레딧 카드 우대 수익 :)"

회계의 거래에서는 거래가 발생되면 꼭 2개이상의 변경 항목이 발생이 되지요... 즉 복식부기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바꾸어 말하면 차변과 대변으로 기록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차변(借邊, debit)과 대변(貸邊 credit)으로 구분해서 기록을 해야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할수가 있지요... 

--> "Credit 카드 우대 수익" (credit 카드를 우.대.하면 수익발생한다.) 로 외우자 :)


먼저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의 구성을 보면 자산과 부채와 자본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자산은 왼쪽 부채와 자본은 오른쪽에 배치가 되어 있지요.. 또한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계와 동일합니다... 그리고 왼쪽에 배치된 것을 차변(자산)이라 하고 오른쪽에 배치된 것을 대변(부채, 자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자산과 부채, 자본의 항목중 각자 본연의 해당 항목이 "증가"되는 것은 자신이 배치되어 있는 항목에 기록을 하고 "감소"가 되는 것은 반대의 항목으로 기록을 하게 됩니다... 좀더 자세히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산이 증가하게 되면 자산은 차변의 항목이므로 차변에 그 증가액을 기록하면 되지요... 반대로 자산이 감소하면 그와 반대인 대변에 기록을 하면 됩니다... 또한 부채가 증가하면 부채는 대변의 항목이므로 증가액은 대변에 기록을 하면 됩니다... 이 또한 반대로 부채가 감소하면 그와 반대인 대변에 기록을 하는 것이지요... 자본도 마찬가지로 자본이 대변의 항목이므로 증가액은 대변에 기록하고 감소액은 차변에 기록을 합니다...


이렇게 자산, 부채, 자본의 증가 또는 발생액을 위와 같은 기준으로 기록(분개)을 하게 되면 재무상태표가 완성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 1가지가 남아 있지요... 바로 수익과 비용입니다... 손익계산서에 기록되는 항목이지요... 먼저 수익이 발생한다는 것은 결국 이익잉여금이 발생이 되므로 자본의 증가로 이어지게 됩니다... 자본은 대변의 항목이지요... 그렇게 때문에 수익의 발생은 자본이 대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대변에 기록을 합니다... 반대로 비용은 자본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지요.. 그렇기 때문에 차변에 기록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회계거래에 대해서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에 기록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자산의 증가/감소, 부채의 증가/감소, 자본의 증가/감소, 수익/비용의 발생을 거래의 8요소라고 하지요... 이 거래의 8요소를 차변과 대변으로 나누어 기록하는 것을 복식부기를 한다고 하는 것이고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는 기초가 되는 것입니다...


[거래의 8요소]


 (차변)         (대변)

자산의 증가      자산의 감소

부채의 감소      부채의 증가

자본의 감소      자본의 증가

비용의 발생      수익의 발생


사실 회계 부서에 근무하시는 분들이야 일도 아니지만 그외 회계와 관련된 업무를 하시는 분들에게는 쉬운 개념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렇게 근본적인 개념을 알고 계시면 도움이 많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자!! 간단하게 위의 설명을 설비를 구입했을 때를 가정하여 예로 한번 들어 보겠습니다.. 외상으로 구매를 했다고 가정을 해보지요... 이 거래를 차변과 대변으로 구매를 하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차변) 000설비 1,000,000원/(대변)미지급금 1,000,000원 =>요렇게 됩니다... 설비는 구매하면 자산이 증가되니까 당연히 차변이 됩니다... 또한 설비는 일반적 상거래에 해당이 되지 않지요.. 자산의 증가입니다.. 그래서 미지급금이 되는 것이지요... 또한 아직 구매대금을 지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채가 발생했습니다... 부채의 증가는 대변에 기록을 하면 되지요.. 그래서 부채인 미지급금은 대변에 기록이 됩니다...


만약 현금으로 지급을 했으면 대변에 현금 1,000,000원이라고 기록하면 됩니다... 설비를 구매해서 설비자산은 증가했지만 대금지불로 인한 현금자산은 감소했기 때문에 현금 자산의 감소는 대변에 기록을 하는 것입니다... 자산의 감소는 대변이지요...


반면에 현금 500,000원을 주고 나머지 500,000원은 외상으로 구매를 했으면 차변의 설비자산 1,000,000원은 동일하게 기록을 해고 대변에 현금 500,000원, 미지급금 500,000원을 동시에 기록하면 되겠지요... 이렇게 항상 차변의 합과 대변의 합은 동일하게 되어야 합니다..


자!!! 이번에는 상품에 대하여 매출이 발생했을때를 한번 보겠습니다.. 매출이 발생했다는 것은 외상매출금이 발생되었다는 것이지요... 즉 자산이 증가되었다는 것입니다.. 또한 거래가 발생이 되었으므로 또 기록을 해야 겠지요.... 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차변)외상매출금 1,000,000원/(대변) 매출 1,000,000원 => 요렇게 되지요.... 여기서 매출이 왜? 대변으로 갔을까요??? 외상매출금은 자산의 증가니까 차변에 기록되는 것은 알겠는데!! 그것은 매출이 발생되었다는 것은 결국 자본의 증가로 이어지겠지요... 즉 위에서 설명한 수익의 발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변에 기록이 되는 것입니다... 


http://blog.naver.com/pd0a5538/220382928462


----------------------------


* "debiting"이란: (은행의 관점에서) 예금구좌에서 돈이 인출되어 나가는 것을 의미함. 돈이 인출되면 부채가 감소되는 것이고 따라서 debiting이 되는 것임.

http://www.investopedia.com/terms/d/debit.asp


Posted by buykiwi
이전버튼 1 이전버튼

블로그 이미지
buykiwi

태그목록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